새소식

javaScript

자바스크립트 기초(1)_변수

  • -

변수?

어떠한 그릇에 값을 담아서 재사용이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것

 

ex) name = "Minji" // 문자형 String

age = 29; // 숫자형 Number (숫자형은 사칙연산 가능)

 

-> 하지만 이 경우 name 값을 아래에서 다시 할당해주면 초반에 선언했던 "Minji" 라는 값은 날아감

 

그래서 '변수 선언' 이라는 것을 해주어야 하는데

변수를 선언하는 방법에는 letconst가 있다.

 

 

let 은 바뀔 수 있는 값

let count = 0;

count += 1; // count를 증가시킴

console.log(count ) // -> 1;

 

 

const 는 바뀌지 않는 값

ex) const PI = 3.14; // 바뀌지 않는 값

const SPEED_LIMIT = 50; // 최댓값

const BIRTH_DAY = '1996-09-09';

 

 

‼️ 모든 변수는 일단 const로 선언한 뒤 나중에 바뀔 가능성이 있는 변수들만 let 으로 바꿔준다

 

 

 

 

문자형(String)은 3가지로 표기할 수 있음

const name1 = ""Minji";  // 큰 따옴표

const name2 = 'Minji';  // 작은 따옴표

const name3 = `Minji`; // 백틱

 

* 큰 따옴표와 작은 따옴표는 큰 차이 없음

* 백틱은 문자열 내부에 변수를 표현할 때 사용하면 편리

ex) const message = `My name is ${name}`;

const message2 = `나는 ${30+1}살 입니다.`;

 

 

 

숫자형(Number)은 사칙연산 가능

const name4 = 'Minji';
const y = name / 2;
console.log(y) //NaN (Not a Number)

 

 

 

Boolean (참과 거짓)

const a = true;
const b = false;
const name5 = 'Minji';
const age5 = 29;

console.log(name == 'Minji'); // true
console.log(age > 30); // false

 

 

null 과 undefined

let age6;
console.log(age6) // undefined (값이 할당되지 않음을 의미)
 
let user7 = null; // null (값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)
console.log(user7)

 

 

typeof 연산자 -> 변수의 자료형을 알아낼 수 있음

const name8 = "Minji"
 
console.log(typeof 3); // number
console.log(typeof name); // string
console.log(typeof true); // boolean
console.log(typeof "xxx"); // string
console.log(typeof null); // object -> 객체형
console.log(typeof undefined); // undefined

 

 

 

 

당연히 알고있는 내용이지만 완전 기초부터 조금씩 차근차근 꼭꼭 씹어먹어보기 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자바스크립트 기초(2)_alert/prompt/confirm  (0) 2024.12.31
JavaScript 기본  (1) 2024.12.20
자바스크립트만 자바스크립트이다!  (0) 2023.10.11
Contents

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

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.